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초기에는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주로 전송했지만, 최근에는 Plain text, JSON, XML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이다. 초기에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디자인되었지만 최근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IoT 등과의 커뮤니케이션과 같이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HTTP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을 연 다음 응답을 받을 때까지 대기하는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이며, 이는 서버가 두 요청 간에 어떠한 상태나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Cookie와 Session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TCP/IP 레이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 등으로 불리는 HTTPS는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HTTPS는 HTTP와 다르게 443번 포트를 사용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하고 있다.
Https동작 과정
HTTPS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과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암호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대칭키 암호화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일한 키를 사용해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
- 키가 노출되면 매우 위험하지만 연산 속도가 빠름
- 비대칭키 암호화
- 1개의 쌍으로 구성된 공개키와 개인키를 암호화/복호화 하는데 사용함
- 키가 노출되어도 비교적 안전하지만 연산 속도가 느림
HTTPS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를 모두 사용하여 빠른 연산 속도와 안정성을 모두 얻고 있다.
HTTPS 연결 과정(Hand-Shaking)에서는 먼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세션키를 교환한다. 여기서 세션키는 주고 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칭키이며, 데이터 간의 교환에는 빠른 연산 속도가 필요하므로 세션키는 대칭키로 만들어진다.
문제는 이 세션키를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떻게 교환할 것이냐 인데, 이 과정에서 비대칭키가 사용된다.
즉, 처음 연결을 성립하여 안전하게 세션키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비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고, 이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빠른 연산 속도를 위해 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다.
실제 HTTPS 연결 과정이 성립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로 최초 연결 시도를 함
- 서버는 공개키(엄밀히는 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넘겨줌
- 브라우저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세션키를 발급함
- 브라우저는 세션키를 보관하며 추가로 서버의 공개키로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
- 서버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여 세션키를 얻음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동일한 세션키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세션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
출처 : https://surprisecomputer.tistory.com/54
출처 : https://blog.wishket.com/http-vs-https-%EC%B0%A8%EC%9D%B4-%EC%95%8C%EB%A9%B4-%EC%82%AC%EC%9D%B4%ED%8A%B8%EC%9D%98-%EB%A0%88%EB%B2%A8%EC%9D%B4-%EB%B3%B4%EC%9D%B8%EB%8B%A4/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98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란 (0) | 2022.05.25 |
---|---|
JWT(Json Web Token) (0) | 2022.05.23 |
MVC란? (0) | 2022.04.03 |
데이터베이스, SQL이란? (0) | 2022.04.03 |
ORM란 (0) | 202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