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깨짐 현상 해결(록키)
gnome 으로 GUI 를 하려고 하니 한글이 다 깨지길래 기록함
록키 리눅스(Rocky Linux)에서 한글이 깨지는 문제는 한글 폰트나 로케일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패키지를 설치하고, 시스템 로케일을 제대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1. 한글 폰트 설치
한글이 깨지는 경우, 한글 폰트가 시스템에 설치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cjkuni 패키지나 fonts-nanum 패키지를 설치하면 한글을 지원하는 폰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한글 폰트를 설치합니다.
sudo dnf install -y google-noto-sans-cjk-ttc-fonts
이 명령어는 구글의 Noto CJK 폰트를 설치합니다. 다른 폰트를 원하시면 nanum 폰트나 cjkuni 폰트 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로케일 설정
시스템의 로케일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한글이 깨질 수 있습니다. 기본 로케일을 한국어로 설정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1) 시스템 로케일 확인
먼저, 현재 설정된 로케일을 확인합니다.
locale
(2) 로케일 설정
ko_KR.UTF-8 로케일을 설치하고 설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로케일 설치:
sudo dnf install -y glibc-langpack-ko
2.기본 로케일 변경: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3.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3. 한글 입력기 설치
한글 입력기를 사용하려면 ibus나 fcitx와 같은 입력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1) IBus 설치 (기본 입력기)
sudo dnf install -y ibus ibus-hangul
설치 후 IBus 입력기를 활성화하려면 아래 명령어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ibus-daemon -drx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입력기 설정 창이 열리며, 여기에서 한국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5. 확인
설치가 완료되면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터미널이나 웹 브라우저에서 한글이 깨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출력된다면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요약
- 한글 폰트 설치: sudo dnf install google-noto-sans-cjk-ttc-fonts 또는 sudo dnf install nanum-fonts
- 로케일 설정: sudo dnf install glibc-langpack-ko,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 한글 입력기 설치: sudo dnf install ibus ibus-hangul
- 입력기 활성화: ibus-daemon -drx, ibus-setup으로 한국어 입력기 설정
이 단계를 거치면, 록키 리눅스에서 한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